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동차 경고등 두번 째!

넓얕지식

by 알고가유 2023. 4. 26. 17:31

본문

반응형



자동차 경고등
1
‘ 자동차 경고등이 필요한 이유 ’
1탄에 이어서 오늘은 자동차 경고등 2탄을 가지고 왔습니다!

차를 모시는 분들이라면, 당연히 알아야 하니 천천히 읽어보시길 바래요~



2
주차 브레이크 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에어 파킹 브레이트가 작동하게 될 때 점등하게 됩니다.

대응방법 : 파킹 브레이크 미작동 시에도 점등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문제가 조금 더 심각한데요. 관련된 센서 혹은 모듈이 고장난 경우일 경우가 높아 가까운 정비센터를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에어 파킹 브레이트가 작동하게 될 때 점등하게 됩니다.

대응방법 : 파킹 브레이크 미작동 시에도 점등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문제가 조금 더 심각한데요. 관련된 센서 혹은 모듈이 고장난 경우일 경우가 높아 가까운 정비센터를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3
ABS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ABS 작동을 하게 될 때 점멸됩니다. ABS 브레이크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경고등인데요. 시동을 키게 된다면 대략 3초동안 점등이 이루어졌다가 소등이 됩니다. 계속 켜져 있는 경우에는 ABS 계통 이상이 예상됩니다.

대응방법 : 휴즈가 끊겨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관련된 센서 혹은 모듈이 고장난 경우에는 정비센트를 방문해서 검사용 진단기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ABS 작동을 하게 될 때 점멸됩니다. ABS 브레이크 기능과 관련이 있는 경고등인데요. 시동을 키게 된다면 대략 3초동안 점등이 이루어졌다가 소등이 됩니다. 계속 켜져 있는 경우에는 ABS 계통 이상이 예상됩니다.

대응방법 : 휴즈가 끊겨진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관련된 센서 혹은 모듈이 고장난 경우에는 정비센트를 방문해서 검사용 진단기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브레이크패드 마모 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어서 교환이 필요하게 될 때 점등이 이루어집니다.

대응방법 :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되어서 교환이 필요하게 될 때 점등이 이루어집니다.

대응방법 :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시길 바랍니다.

5
브레이크 과열 경고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브레이크 과열이 될 때 표시됩니다.

대응방법 : 엔진이나 배기 브레이크 등을 사용하고, 또는 운행을 중단해서 제동계통의 무리를 주지 않아야 됩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브레이크 과열이 될 때 표시됩니다.

대응방법 : 엔진이나 배기 브레이크 등을 사용하고, 또는 운행을 중단해서 제동계통의 무리를 주지 않아야 됩니다.

6
브레이크액 보충 경고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 표시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이신 분들이라면, 바로 중단하며 브레이크 액을 보충하거나 교환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 표시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이신 분들이라면, 바로 중단하며 브레이크 액을 보충하거나 교환하시길 바랍니다.

7
와셔액 부족 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와셔액 부족이 이루어질 때 점등됩니다.

대응방법 : 와셔액을 일정량 이상 보충하는 경우에 소등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와셔액 부족이 이루어질 때 점등됩니다.

대응방법 : 와셔액을 일정량 이상 보충하는 경우에 소등하시길 바랍니다.

초록색 ( 상태 )

발생원인 : 와셔액 부족이 이루어질 때 점등됩니다.

대응방법 : 와셔액을 일정량 이상 보충하는 경우에 소등하시길 바랍니다.



8
엔진 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엔진 전자제어 장치나 베기가스 제어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센서 이상이 나거나, 연료탱크나 연료필터 등 연료공급장치에 누유가 될 때 점등이 됩니다.

대응방법 : 엔진에 이상이 생기게 되었을 때 점등되기 때문에 가까운 직영 정비소 등에 방문해서 검사용 진단기를 활용해 점검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엔진 전자제어 장치나 베기가스 제어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센서 이상이 나거나, 연료탱크나 연료필터 등 연료공급장치에 누유가 될 때 점등이 됩니다.

대응방법 : 엔진에 이상이 생기게 되었을 때 점등되기 때문에 가까운 직영 정비소 등에 방문해서 검사용 진단기를 활용해 점검하시길 바랍니다.

9
엔진과열 ( 냉각수 ) 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엔진냉각수가 없게 되거나, 엔진에 문제가 생기게 되어 엔진 과열이 될 때 점등이 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을 추천드립니다. 그 후 엔진과열인지 냉각수가 부족인지 다양한 원인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엔진냉각수가 없게 되거나, 엔진에 문제가 생기게 되어 엔진 과열이 될 때 점등이 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을 추천드립니다. 그 후 엔진과열인지 냉각수가 부족인지 다양한 원인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상태주의 ( 파란색 )

발생원인 : 엔진냉각수가 없게 되거나, 엔진에 문제가 생기게 되어 엔진 과열이 될 때 점등이 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을 추천드립니다. 그 후 엔진과열인지 냉각수가 부족인지 다양한 원인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10
엔진 오일 압력 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엔진 오일이 부족하게 되거나, 오일순환계동의 문제로 인해 유압이 낮아지게 될 때 점등이 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비업소에서 엔진 오일량을 점검하고 난 뒤 엔진오일을 보충하시길 바랍니다. 압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순환이 어려운지 혹은 오일량이 부족한지 등도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엔진 오일이 부족하게 되거나, 오일순환계동의 문제로 인해 유압이 낮아지게 될 때 점등이 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비업소에서 엔진 오일량을 점검하고 난 뒤 엔진오일을 보충하시길 바랍니다. 압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순환이 어려운지 혹은 오일량이 부족한지 등도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11
엔진오일과열 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엔진오일이 과열 될 때.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이 좋습니다. 엔진오일을 보충하게 되거나, 압력이 떨여져서 순환이 어렵게 되는지, 오일량이 부족한지 등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스스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에는 견인 등을 통해서 정비소로 이동하면서 점검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엔진오일이 과열 될 때.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이 좋습니다. 엔진오일을 보충하게 되거나, 압력이 떨여져서 순환이 어렵게 되는지, 오일량이 부족한지 등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스스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에는 견인 등을 통해서 정비소로 이동하면서 점검하시길 바랍니다.


12
엔진오일 부족 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엔진오일 부족이 이루어질 때 점등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이 좋습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엔진오일 부족이 이루어질 때 점등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이 좋습니다.

13
디젤 엔진 예열 표시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디젤 차량에서 키를 돌리게 된다면, 점등되고 혹은 예열이 완료된다면 자동으로 소등이 이루어집니다. 예열한 뒤에 예열 표시등이 켜져 있는 경우에 예열 관련 전기 장치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대응방법 : 예열 후에도 장시간 점등이 된다면 정비소에서 점검하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디젤 차량에서 키를 돌리게 된다면, 점등되고 혹은 예열이 완료된다면 자동으로 소등이 이루어집니다. 예열한 뒤에 예열 표시등이 켜져 있는 경우에 예열 관련 전기 장치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대응방법 : 예열 후에도 장시간 점등이 된다면 정비소에서 점검하시길 바랍니다.

14
냉각수 ( 부동액 ) 경고등

경고 ( ᄈᆞᆯ간색 )

발생원인 ; 냉각수가 부족하게 될 때 점등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을 추천드립니다. 냉가계통의 누수 등이 없는지를 확인하고 냉각수를 보충해야 합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냉각수가 부족하게 될 때 점등됩니다.

대응방법 ; 운행 중단을 추천드립니다. 냉가계통의 누수 등이 없는지를 확인하고 냉각수를 보충해야 합니다.



15
디젤 매연 필터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디젤 매연 필터 장치에 문제가 생길 때 경고등을 점등됩니다.

대응방법 : DPF 청소 또는 작동 상태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디젤 매연 필터 장치에 문제가 생길 때 경고등을 점등됩니다.

대응방법 : DPF 청소 또는 작동 상태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16
연료부족 경고등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연료가 부족하게 될 때 점등이 이루어집니다.

대응방법 : 연료를 보충하게 된다면 소등됩니다.

17
자동 기어박스 경고등

경고 ( 빨간색 )

발생원인 : 지동변속기 고장이 발생이 될 때 점등이 됩니다.

대응방법 : 기계적 결합이나 관련된 센서, 모듈이 고장난 경우에는 가까운 직영 정비센트 등을 방문해서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내용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주의 ( 노란색 )

발생원인 : 지동변속기 고장이 발생이 될 때 점등이 됩니다.

대응방법 : 기계적 결합이나 관련된 센서, 모듈이 고장난 경우에는 가까운 직영 정비센트 등을 방문해서 검사용 진단기 등으로 내용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넓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