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국가 지원금 두번째!

넓얕지식

by 알고가유 2023. 4. 4. 21:11

본문

반응형



근로장려금 뜻과 기준

1
‘ 다양한 지원정책을 시행하는 정부 ’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일반 시민들을 위해서 여러 가지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에서 이런 적극적으로 정책에 관한 소개를 잘 소개를 할 때도 있지만, 홍보가 잘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우리가 먼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은데요.

오늘은 정부 지원 제도 중에 하나인 근로장려금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2
‘ 근로장려금이란? ’

예전과 다르게 2023년부터는 근로장려금 기준 대상이 더욱 확대되었으며, 최대 지급액까지 늘어났기 때문에 오늘 전해드리는 소식들을 통해서 자신이 기준을 만족하는지 신청 방법은 또 어떤 식으로 되는지 미리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그렇다면 근로장려금의 뜻은 무엇일까요? 현재 근로를 하고 있긴 하지만, 적은 근로소득으로 인해서 생계가 어려운 근로자분들과 사업자분들에게 일정 금액을 잡아 현금으로 지원하고 있는 제도입니다.

근로소득과 그리고 사업소득에 따라서 정해진 금액을 지원하기 때문에 생계 유지에도 많은 도움을 주게 되죠.



3
‘ 근로장려금의 기준 ’

그렇다면 그 기준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게 될까요? 사실 요건들을 모두 다 만족해야지만 신청이 가능한데요. 신청 기준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많게는 무려 수백만원의 현금까지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그래서 국민취업지원제도와 내일채움공체, 실업급여와 더불어 대표적인 근로장려 제도로 우리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

전체 네 가지 요건을 만족해야 됩니다.

3-1
‘ 가구원의 요건 ’

첫 번째로는 가구원의 요건입니다. 현재 근로소득과 종교소득 사업소득이 있는 분들은 각각 세분화되어, 세 가지로 가구원 요건을 가지게 됩니다.

단독 가구와 홑벌이 가구 그리고 맞벌이 가구가 장려금 신청 대상입니다. 여기서 단독 가구를 자세하게 보게 된다면 부양 자녀와 배우자 70세 이상 직계 존속이 없는 가구를 의미하는데요. 홑벌이 가구의 경우 배우자의 전체 급여액이 300만 원 미만이면서도 부양 자녀와 배우자 70세 이상 직계 손속을 가지고 있는 가구를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맞벌이 가구를 보게 된다면 배우자와 신청자 각각 전체 급여액이 300만 원 이상인 가구를 의미한다 하네요.

3-2
‘ 소득 요건 만족하기 ’

첫 번째 기준을 만족했다면 이제 두 번째 기준으로 넘어가야겠죠. 소득 요건입니다. 소득 요건은 가구 형태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총 소득 금액을 기준으로 잡아 단독 가구는 2200만 원 미만이어야만 하고, 홑벌이 가구는 3200만 원 그리고 맞벌이 가구는 3800만 원 미만이어야 됩니다. 여기서 전체 소득 금액은 근로부터 시작해 종교와 사업 기타 소득 등 전부 다 합한 금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지원 자격에 대한 기준이기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3-3
‘ 재산 요건 만족하기 ’

세 번째로는 재산 요건인데요. 2023년부터는 이 재산 요건이 조금 더 널널해졌습니다. 기존에는 현재 가지고 있던 전체 재산 합계액이 2억 미만이어야 했긴 하지만 기준이 2억 4천 미만으로 변경이 이루어지면서 더욱더 많은 사람들에게 근로장려금 혜택을 제공해 주고자 하는 정부의 의도를 알 수 있습니다.


4
‘ 근로장려금 지원을 못해주는 경우는 ? ’

이렇게 세 가지 요건에 만족하더라도 지원을 못 해주는 경우가 있는데요. 바로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지 않는 자이거나 다른 거주자의 부양 자녀인 자 혹은 배우자를 포함하여서 거주자가 전문직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자는 신청 대상에서 제외가 이루어지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마무리

이렇게 근로장려금 뜻과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까다로운 기준을 만족하는 만큼, 그에 따른 지원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다음에는 이런 요건들을 만족했을 때, 신청은 어떤 식으로 할 수 있는지, 받을 수 있는 지원 금액은 어떻게 되는지 꼼꼼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넓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